비누의 선택 방법---고품질인 비누란?
무첨가(순 비누분이 많은 것) 이 고품질 일까요, 혹은 가격이 비싼 비누가 고품질 일까요? 답은 : 아닙니다.
무첨가 비누가 적합한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또, 가격이 비싼 비누가 품질이 좋고 사용하기 편리한 비누라고는 할 수 없습니다. 본인이 사용해 보고 궁합이 좋은 비누가, 그 사람에게 있어서의 고품질인 비누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럼, 각각의 용도별로 어떤 비누가 좋은 것인지 생각해 봅니다.
|
|
|
신체용 비누
(머리를 감거나, 세수를 할때, 목욕을 할때, 사용하는 것) 피부에 자극을 느끼지 않고, 세정효과가 좋은 기분 좋은 것을 선택합시다.
사용촉감은, 어떤원료를 쓰느냐, 제품의 등급, 제법(기계 반죽/틀 반죽) 등에 의해 크게 좌우 됩니다.
또, 사용할 때의 컨디션이나, 개인의 체질, 향기의 유무, 계절등에 의해서 같은 비누를 사용하면서도 다르게 느겨지기도 합니다.
|
 |
우리가 신체에 사용하는 제품은 여러 가지 화학제품의 무첨가 비누가 가장 사용하기 좋은 제품입니다. 피부가 민감한 사람은, 배합 성분의 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트러블이 일어나는 확률도 높아지므로, 무첨가인가, 또는 99~98%의 비누분인가 가 비누를 선택하는 기준이 되면 안심할 수 있읍니다.
무첨가 비누로 세정력이 너무 강하다면, 글리세린이나 식물성 엑기스등의 보습 성분들이 있는 비누가 좋을 것입니다.
비누를 만들 때 유지분을 넉넉하게 해 두어, 완성제품에 유지분이 남도록 계산해 만들어지는 「과지방 비누(슈퍼 패드비누)」도 보습력이 높은 것 같습니다.
|
|
|
주방용 비누
기름때가 충분히 떨어질수 있는 세정력과 취급하기 용이한것이 선택의 포인트입니다.
피부가 약한 분은, 손이 거칠어지지 않는 것이 중요하겠지요. 주방용 세제와 외관이 비슷한 액체 비누는, 주방용세제로 변환시 심리적인 저항감 없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하겠지요.
그렇지만, 세정력이 좋은 것은 규산염이나 탄산염이 들어간 고형 비누나 가루 비누가 탈지력이 강해, 손이 거칠어질 수 있기 때문에 고무 장갑을 사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덧붙여서, 액체 비누는 대부분 알칼리제가 들어가 있지 않은 무첨가 비누입니다.
무첨가의 고형 비누나 액체 비누를 사용할 때는, 알칼리액의 스프레이나 베이킹소다등을 조합하면 때가 빠지는 효과가 좋아집니다.
|
 |
|
|
세탁용의 비누
매일하는 세탁에는, 탄산염(탄산소다)의 가루 비누가 적합합니다. 탄산염등의 알칼리별로는, 다음과 같은 기능이 있습니다.
- 세탁액을 알칼리성을 유지하는 것은 세정력이 좋다.
- 알칼리에는, 유지를 유화하고,
단백질을 분해하는 세정력이 있다 .
- 알칼리제를 첨가하는 것으로 세탁에 사용하는 순수한 비누분이 줄어 들어, 환경에게 주는 영향이 적어진다
|
세탁을 할때, 비누를 사용하는 것도 필요합니다.매일하는 세탁에는, 수온이 20도 정도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쌀겨 비누나 폐유 비누가 적합 합니다.
한편, 진흙, 찌든때, 기계유 등 찌든 세탁물에는 더 높은 세정력을 가진 비누가 필요합니다.
|
 |
소의 지방이나 팜 유 비누가 이것에 해당됩니다. 그러나 이것들은 세탁과 헹굼에서 수온40도 이상이 필요해서 매일하는 세탁에는 불편합니다. 그렇지만, 수온에만 신경쓰면, 평상시 사용하는 비누에서는 깨끗해지지 않는 더러움도 씻어내 줍니다.
울이나 실크 등, 알칼리에 약한 섬유는 무첨가 비누가 적합합니다. 이 때, 탄산염보다 약한 알칼리제의 세스퀴 탄산소다[Sodium Sesquicarbonate]를 작은 스푼1컵을 추가하면, 더러움 때문에 비누액의 산성화를 막아 세정력을 지킬 수 있습니다.
평상시 사용하는 탄산염들이 가루 비누에 베이킹소다를 추가해 알칼리성을 조금 약하게 해 주어도 같은 효과가 있습니다. 우리 집의 세탁 스타일이나 또는 세탁물에 맞는, 사용하기 쉬운 비누를 선택하면 굿.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