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자료모음/비누

4 - 1. 비누의 특성

그런저러이야기 2013. 5. 16. 20:55

 

 

비누의 특성

비누에는 다른 계면활성제와 크게 다른 몇가지 특성이있습니다.
그것에 공통적인 부분은
「비누에 있는 특성을 주면 계면활성 작용(유지와 물을 혼합하는 힘)이 간단하게 없어진다」  라고 하는 것.

계면활성작용이 쉽게 없어진다는 것은 「특성」이라기 보다 「결점」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인체나 환경을 생각했을 때,  이「결점」은,  큰 장점이 됩니다.
예를 들어, 신체를 씻을 때. 비누는 물로 행구면 더이상 피지를 없애는 작용이 없습니다.
피부가 거칠어질 때, 피부과의사가  비누를 권하는 이유의 하나가 이것입니다.
또, 사용한 뒤 배수로서 방출되어도 빨리 세정력을 잃기 때문에, 정화조의 박테리아나 수생생물에게
계면활성 작용을 미칠 걱정이 없습니다.
그럼, 구체적으로 비누에는 어떠한 특성이 있는지 알아 보겠읍니다.

 
 
특성1:농도가 엷어지면 계면할성작용을 잃는다.

비누가 세정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이상의 농도가 필요합니다(임계 미셀 농도).
그리고 그 농도를 밑돌면, 더러움을 빼는 힘을 잃어 버립니다.
이것을 「계면활성 작용을 잃는다」 「실활 한다」라고 표현합니다.
비누로 식기를 씻을 때  흐르는물로 헹굼을 하는 것은, 계면활성 작용을 없애는 것입니다.
고인물(받은 물)로 헹굼을 하면 식기에 남아있던 비누가 엷어져서 실활 해,
잡고 있던 더러움이 수중에서 또다시 식기에 또 들러붙어 버리기 때문입니다.
 
 
 특성2:산에 약하다

비누는 알칼리성이기 때문에, 산성의 물질을 만나면 중화 되어 세정력이 없어집니다.
식기에 붙은 더러움은 대체로 산성입니다만, 특히
식초나 초절임 찌꺼기, 케찹, 소스, 마요네즈, 과즙등의 산미가 있는 것은, 찌꺼기를
먼저 떨어뜨리고 나서, 세정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의류에 붙은 피지도 「지방산」이라고 하는 산성 물질입니다.
일반적으로, 의류의 얼룩은 식기와 달리 그만큼 진하지는 않습니다.
진흙 투성이의 스포츠 유니폼이나, 기계유가 묻은 작업복 등은
탄산염(알칼리제)이 배합된 비누를 사용하면 충분합니다.
 

 
특성3:미네랄에 약하다

물에는 칼슘이나 마그네슘이라고 하는 미네랄 성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물의 성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경도 성분이라고도 불립니다.
비누는, 이 미네랄을 만나면 물에 녹지 않는 「비누 앙금」에 변화해 버립니다.
이럴땐, 미네랄분에 강한 야자유 비누(코코넛 비누)를 사용하거나, 알칼리제를 최대한 활용하고
왠만하면 비누를 사용하지 않고 는 것이 좋습니다.
 
 
 특성4:냉수에서는 녹기 어렵다

비누의 원료이며, 세정력의 원인이 되는 지방산은 20도 이하의 물에서는 잘 녹지 않습니다.
비누가 녹지 않으면, 세정력도 충분히 나오지 않습니다.
때문에 세탁이나 그릇을 닦을때는 수온이 20도
이상을 유지해야 충분한 세정력이 있읍니다.

수도물의 수온은 그날의 평균 기온에 가깝다고 합니다.
따라서, 수돗물에 손을 대었을 때에 「차갑다」라고 느끼면,
가능한 한 비누를 사용하지 않고 주방세제를 사용하는것이 좋을 것입니다.
 

 
 

'기타 자료모음 > 비누' 카테고리의 다른 글

4 - 3. 기포와 포말  (0) 2013.05.16
4 - 2. 비누의 거품역활  (0) 2013.05.16
3. 마르세이유 비누역사  (0) 2013.05.15
2. 비누의 역사  (0) 2013.05.14
1. 비누의 정의  (0) 2013.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