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앞에서도 예기했듯이 가정이나 우리몸에서 쓰일때는 필히 주의할점이 있답니다...... 그것은 "농도" 입니다. 과산화수소는 농도에 따라 다른물질이라 생각해야합니다. 또한 이물질(안정제,미세한 이물질) 이 있느냐, 없느냐 입니다.
여기서는 3%농도와, 안정제가 없는 과산화수소만 한정 해서 쓸것입니다 |
과산화수소의 안정제 |
과산화수소는 불안정한 상태입니다. 때문에 제품화되는 대부분의 과산화수소는, 저장 및 운송을 통한 제품의 분해를 최소화 하기 위해 추가되는 안정장치(안정기: 킬레이트제와 금속이온 봉쇄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일부제품의 필요에 따라, 안정화의 높은 수준이 필요하고 제품 순도가 중요합니다.
과산화수소의 안정제는 생산 및 제품 등급에 따라 다릅니다. 안정기는 제품의 출하전에 이미 추가됩니다. 안정기는 제품의 필요에 따라 과산화수소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유형 및 안정화 수준은 과산화수소의 등급에 따라 달라집니다.
안정기는 킬레이트제 /금속이온봉쇄제(유기 / 무기 인산염) 및/또는 주석산염 및 규산염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대부분의 안정기는(포스폰산: phosphonic acids) 산성이며, 제품에 산도를 추가하여 속성을 완충할 수 있습니다, 일부 안정기(주석산염:stannate)는 알칼리성도 있읍니다. 콜로이드주석산염과 피로인산나트륨(25 - 250 MG / L)은 표준 안정기입니다. 유기인산나트륨류도 일반적이다.
다른 첨가물은 질산, 인산과 규산 콜로이드를 포함 할 수 있습니다. 사용 안정제의 양 및 유형은 생산자, 제품 등급 및 과산화수소 농도등 에따라 다릅니다.
회사마다 농도별, 제품별 안정기를 포함하는 것이 다 다릅니다. (회사들에 노하우)
이러한 안정제는 대부분이 인간에게 독성물질 일수 있습니다. 그것들은 특정한 용도(산업용,의학용,등등)에 과산화수소 안정제를 사용합니다, 때문에 가정에서 사용되는 음식물 씻기, 일반 가정용 청소, 목욕등등, 은 이런 특정한 용도의 안정제가 포함되서는 안됩니다. 따라서 가정에서, 개인관리, 치료목적으로 쓰이는 과산화수소는 식용등급 으로만 써야됩니다.
----------------------------------
과산화수소는 무색 무취입니다. 과산화수소는 약국(의약등급),또는 화공약품판매점(안정제를 포함)에서 구입하는 과산화수소는 안정제가 포함되어 있어 냄새가 납니다(안정제에 따라 냄새가 다름).
------------------------------------
안정제의 여부 테스트 : 증류수(비 염소화 물) 한 컵에 과산화수소 1 / 2 뚜껑을 넣어 안정제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태양에 비춰볼때 노란색이나 다른 색이있는 경우 안정제가 추가된것 입니다. H2O2 용액이 무색 인 경우에는 안정제가 추가되지 않은것 일수 있습니다.
다른 테스트 : 깨끗한 유리컵에 과산화수소를 넣고 덮어서 태양빛에 노출시켜 공기 거품이 있어날 경우 금속 오염 물질이 있는것 입니다.
마실 물을 테스트 : 테스트하려는 물 90%와 식품등급(3%) 과산화수소를 10%추가하여 최소 6 시간을 기다려 봤을때 기포가 많은 경우, 많은 유기 잔류 물이나 중금속이 포함돼 있는것 입니다. 그럴경우 음료로는 부적합하므로 식물등에 사용.
---------------------------------------------
※ 개인관리 와 치료에서는 안정제가 없어야 하며, 이물질이 없어야 합니다...
이상의 기본적인 사항을 숙지하시고,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
'기타 자료모음 > 과산화수소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본을 먼저 읽어주세요. 1 (0) | 2013.03.21 |
---|---|
기본을 먼저 읽어주세요. 2 (0) | 2013.03.21 |
미 연방 위험구분 (0) | 2013.03.21 |